부산항만공사(BPA)는 지난 19일 일본 교토에서 지역 화주와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부산항 이용 촉진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BPA는 간사이 지역 화주들에게 부산항의 경쟁력을 알리고 부산항과 교토 마이즈루항 간 항로를 활성화하고자 이번 설명회를 마련했다. 행사에는 현지 화주, 물류기업 등 해운물류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해 부산항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BPA는 부산항의 다양한 정기노선과 비용 절감 효과 등 부산항 환적 메리트를 소개하고, 인프라 공급 계획을 공유했다. 일본 화물을 부산항에서 환적하면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항로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이점이 있지만 추가 선적이 필요하고 하역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원활한 환적 서비스가 필수적이다. 이에 BPA는 진해신항 메가포트 조성, 터미널 운영 효율성 향상, 스마트 물류 시스템 도입 등을 추진하며 정시성과 신뢰성 확보에 힘쓰고 있다고 소개했다.
설명회가 개최된 마이즈루항을 포함해 일본 서안 지역은 부산항과 지리적으로 인접해 부산 환적의 이점이 가장 높은 곳으로, BPA는 환적 여건이 개선되면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 일본 환적화물의 부산항 유치에 더욱 힘이 실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BPA는 앞으로도 일본 서안의 항만 당국을 중심으로 공동 포트세일즈를 추진해 나가면서 양국 간 피더항로의 지속적인 성장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설명회에는 부산항운노동조합 박병근 위원장과 부산항만물류협회 이정행 회장이 참석해 노·사·정 협력을 기반으로 한 부산항의 안정적인 운영을 강조했다. 박병근 위원장은 부산항이 동북아 환적 허브로 일본 화주들에게 더욱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도록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BPA 송상근 사장(
아래 사진)은 “일본은 부산항 물동량 3위의 핵심 시장이며, 일본 컨테이너 화물의 약 10%가 부산항에서 환적해 나가고 있다”며 “앞으로 일본 지방 항만·화주와 교류를 더욱 강화해 부산항이 일본 환적화물의 거점으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박한솔 기자 hsolpark@ksg.co.kr >
0/250
확인